급탕비는 온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우리가 샤워, 설거지, 세탁기 등에서 온수를 사용할때 급탕비가 발생합니다.
1) 지역난방 급탕비
지역난방은 공동설비로 온수를 공급하여 중앙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각 가정에서 사용합니다.
공급이 일정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사용하지 않아도 기본요금이 발생하여 요금이 비교적 높게 느껴질 수 있고 여름철에도 일정한 고정비가 나올수 있습니다.
기본요금 (세대당 고정비용, 면적 기준또는 정액) 에 사용요금 (온수 사용량에따른 부과금)을 합산하여 계산됩니다.
세대 급탕비 = (온수 사용량 X 급탕 단가) + 공동 급탕비
- 온수 사용량 : 각 세대에 설치된 계량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급탕 단가 : 온수 1통을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 (연료비, 시설운영비 등)
- 공동 급탕비 : 급탕 시스템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공동비용 (유지보수 등)
2) 개별난방 급탕비
각 세대가 가스보일러 등을 통해 직접 온수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결정되므로 사용하지 않으면 요금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보일러 노후화 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순간적으로 물온도가 불안정할 수도 있습니다.
요금은 도시가스 사용량에 따라 부가됩니다.
급탕비 줄이는 방법
급탕비를 줄이고 싶다면, 절수형 샤워기 사용, 온수 사용 시간 단축 등의 절약 노력이 필요합니다.
1) 온수 사용시간 별 급탕비
예를들어 온수 샤워시간에 따른 급탕비를 비교해보면 5분 내외의 짧은 샤워의 경우 약 50~60L 정도 온수를 사용하지만 15분 정도의 긴샤워할 경우에는 약 150~180L의 온수가 사용됩니다.
개별난방 (도시가스: ㎥당 1,200원, 온수 100ℓ당 약 0.1㎥ 가스 사용 가정 )
지역난방 (급탕요금: 1㎥당 4,000원 가정, 여기에 기본요금(월 5,000~10,000원) 이 추가 )
위와 같은 조건의 지역난방과 개별난방일때 샤워시간별 요금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온수 1회 사용 시간 증가에 따라, 요금도 선형적으로 증가합니다.
2) 절수기 샤워 사용시 급탕비
절수형 샤워기(절수기 샤워)를 사용할 경우, 온수 사용량이 일반 샤워기 대비 약 30~50% 절감되므로 급탕비도 그에 비례해 상당히 줄어듭니다.
절수형 샤워기 사용시 지역난방의 경우 월간 절감액(30회 기준) 최대 7200원 입니다.
3) 급탕 시스템 점검
노후화된 배관이나 난방시스템은 열효율을 떨어뜨려 급탕비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지역난방 시스템의 경우 관리사무소나 열공급 업체에서 주관하여 보통 연 1~2회 정기점검 합니다.
점검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개별난방, 가스보일러의 경우 세대 자체 또는 보일러 기사가 점검해야 합니다.
가정용 보일러는 보통 1년에 1~2회 정기점검 및 청소를 권장하고 10년이상 사용시에는 효율이 낮고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어 교체검토가 필요합니다.
'라이프_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대면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하기 / 신청 확인 조회 (0) | 2025.04.29 |
---|---|
임대인 집주인 요청으로 전세 계약 만기 후 전세금 받아야 하는 경우 /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 (0) | 2025.04.27 |
에어컨 가스 냉매 충전 주기 / 냉매 부족한지 확인하는 방법 / 비용 (0) | 2025.04.24 |
전기세 누진세 요금계산 / 여름철 누진구간 / 계절별,시간별 전기요금 차이 / 전기요금 할인 (0) | 2025.04.19 |
네이버 간편 인증서 발급 방법 / 비밀번호 설정 / 삭제 및 해지 방법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