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전기요금은 기본요금, 전력량 요금, 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요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력량 요금은 연료비 등 사용량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반영한 요금입니다.
사용량이 적으면 전력량 요금이 낮고 사용량이 많으면 전력량 요금이 높아지게 됩니다.
일정시간동안 사용한 에너지의 양인 사용량(kWh)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주택용 기본요금은 사용량(kWh)이 해당하는 단계의 기본요금을 적용합니다.
기본요금은 변전소, 송배전선로 등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하고 유지보수하는데 쓰이는 비용을 반영한 요금입니다.
누진세란?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적용되는 요금에 차등이 생기는 제도입니다.
사용량이 적다면 낮은단가를, 사용량이 많다면 높은 단가를 적용받습니다.
현재 200kw단위 3단계로 운영중입니다.
전력량요금 단가적용법
전기세 누진요금 계산은 사용량 구간별로 해당 구간의 단가를 적용합니다.
1단계 사용량에는 1단계 단가를 적용합니다
2단계 사용량에는 1단계 사용량을 제외하고 2단계 단가를 적용합니다.
3단계 사용량에는 1,2 단계 사용량을 제외한 3단계 단가를 적용합니다.
예외사항 : 여름철 누진구간 완화 (주택용)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 등 냉방으로 인하여 전력수요가 많아져서 주택용 전기요금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7~8월에 한하여 누진구간을 확대하여 낮은 요금단가로 운영합니다.
1단계 구간 : 100kwh 확대 -> 300kWh 이하
2단계 구간 : 50kwh 확대 -> 301~450kWh이하
3단계 구간 : 50kwh 확대 -> 450kWh 초과
계절별, 시간별 전기요금 차이
전기를 언제 얼마만큼 사용하는지에 따라 전기의 원가가 달라지기 때문에 계절별, 시간별로 전기요금에 차이가 있습니다.
전력수요에 따른 전기료 차이
전기의 원가는 발전비용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전력수요의 높낮이에 따라 원가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여름철 낮 시간대 냉방수요가 증가하거나 겨울철 저녁시간대 난방수요가 증가하는 것처럼 전력수요가 높아지면
LNG 등 생산단가가 높은 발전기를 가동합니다.
반대로 한밤중이나 새벽에는 전력수요가 낮아 가동하는 발전기 대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전력수요가 높을 때에는 높은 단가를, 낮은때에는 낮은 단가를 설정함으로써 소비자 스스로 전기사용 시간대를 조절하고 전력수요를 분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최대부하 : 전력수요가 가장 높은 시간
경부하 : 전력수요가 가장 낮은 시간
중간부하 : 전력수요가 최대부하와 경부하 사이의 시간
최대부하시간대 요금단가가 가장 높고 그 다음 중간부하, 경부하 순서로 단가가 높습니다
전기요금 할인제도
전기요금 할인제도에는 복지할인 과 기본공급약관의 특례가 있습니다.
복지할인은 사회, 정책적 배려를 필요로 하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 유공자, 기초수급자, 대가족, 출산가구 등이 해당됩니다.
다음의 경우에는 월 30% 할인됩니다 (월1만6천원 한도)
대가족 : 주민등록표상 세대원수가 5인이상인 가구
3자녀이상 : '자'3인 또는 '손' 3인 이상인 가구
출산가구 : 주민등록표상 출생일로부터 3년미만인 영아가 포함된 가구
'라이프_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난방 vs 개별난방 급탕비 차이점 / 요금 계산 / 급탕비 절약 방법 (0) | 2025.04.25 |
---|---|
에어컨 가스 냉매 충전 주기 / 냉매 부족한지 확인하는 방법 / 비용 (0) | 2025.04.24 |
네이버 간편 인증서 발급 방법 / 비밀번호 설정 / 삭제 및 해지 방법 (0) | 2025.04.18 |
전산세무회계 자격증 전산세무 전산회계 /시험구성 /접수방법 2025 (0) | 2025.04.16 |
공매도 뜻 / 공매도 재개일 / 공매도 잔고확인방법 4가지 (1) | 2025.04.15 |